분류 전체보기 296

C# 선그리기(Pen,DrawLine)

안녕하세요. 오늘은 C#으로 윈도우폼에서 선 그리는것을 할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컴퓨터의 좌표계를 알아야 합니다. 컴퓨터의 좌표계입니다. 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네단계가 필요합니다. 첫번째로 Graphics개체에 대한 참조를 가져옵니다.두번째로 선의 굵기와 색을 정합니다. 세번째로는 시작점과 끝점을 정합니다.네번째로 Graphics개체를 해제합니다. 첫번째) Graphics개체에 대한 참조 Graphics graphics = CreateGraphics(); 두번째)선의 굵기와 색 정하기System.Drawing.Pen에 있는 Pen 클래스를 사용합니다.1. Pen name = new Pen(color);2. Pen name = new Pen(color,width); color : 선의 색width : 선의..

아트메가를 사용하여 사운드 감지 센서 모듈 사용하기(NS-SDSM,LM393,FC-04)

아트메가를 사용하여 사운드 감지 센서 이용하기(NS-SDSM,LM393,FC-04)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운드 감지 센서 모듈을 사용해보겠습니다. 이 사운드 감지 센서모듈은 사운드 감지 여부에따라 디지털 출력핀(OUT)에서 HIGH 혹은 LOW가 출력됩니다.사운드가 감지되면 LOW가 출력되고 감지표시LED에 불빛이 들어옵니다.사운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HIGH가 출력되고 감지표시LED에 불빛이 들어옵니다. 사운드 감도는 가변저항(감도 설정)을 통하여 할 수 있습니다. 사진 기준 시계방향으로 가변저항을 돌리면 큰 소리에 반응하게 됩니다. 이 모듈을 아트메가128에 연결하여 사운드가 감지되면 ON/OFF되게 해보겠습니다. 방법1 I/O포트를 통하여 제어방법2 외부인터럽트를 통하여 제어 방법 두가지의 공통 회로..

아트메가128 타이머/카운터란?

안녕하세요. 타이머/카운터의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기본적으로 타이머/카운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펄수를 계수하기 위함입니다.아트메가128에는 4개의 타이머/카운터가 있습니다. 이 4개는 타이머 혹은 카운터가 됩니다. 타이머란?1. 타이머란 시스템 클럭의 변화를 감지합니다.2. 동기모드입니다,3. 일정시간 간격의 펄스를 만들어 내거나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카운터란?1. 외부 입력의 변화를 감지 합니다,2. 비동기모드입니다, 3. 외부핀(TOSC1, ROSC2,T1,T2,T3)을 통해 들어오는 펄수의 수를 개수하여 이벤트 카운터로 동작합니다. 위에서 타이머/카운터가 4개있다고했는데, 번호를 0,1,2,3으로 붙인다. 타이머/카운터0,2는 8비트이고 타이머/카운터..

아트메가/이론 2017.08.06

비트연산 사용법(BIT연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BIT연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비트연산은 C언어뿐만 아니라 자바,C#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특히 MCU를 사용할때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아트메가,아두이노 등)왜냐하면 MCU들은 레지스터로 제어를 하게되는데 레지스터들은 비트로 되어있습니다. 비트연산 & (AND연산)| (OR연산) ^ (XOR연산)~ (NOT연산)> (오른쪽 쉬프트연산)이렇게 비트연산에는 6가지가 있습니다. &(AND연산)진리표입력1 입력2 출력 0 0 0 0 1 0 1 0 0 1 1 1 입력이 모두 1일때만 출력이 1이 됩니다. 5~8번째줄은 실제로 &연산을해서 값을 출력해본것이고 10~15번째줄은 실제로 if문에 사용한 것입니다. a&b를하면 1이므로 True가 됩니다. |(OR연산..

오토핫키 프로그램실행명령어(Run,Runwait)

안녕하세요. 오토핫키 프로그램실행명령어인 Run과 Runwa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un과 Runwait으로 프로그램,폴더,인터넷사이트를 킬 수 있습니다. Colored By Color Scripter™1234F2::{ Run, Calc}실행시키고 F2을 누르면 계산기가 나옵니다. Colored By Color Scripter™1234F2::{ Run, C:\ } 실행시키고 F2을 누르면 C드라이브가 나옵니다. Colored By Color Scripter™1234F2::{ Run, http://wowon.tistory.com }실행시키고 F2을 누르면 인터넷 사이트가 나옵니다. 위에서 여러 기능들을 해봤습니다. 위의 코드대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지만 매개변수를 알면 더 잘 다룰 수 있습니다. Run,..

오토핫키 메세지박스,메세지출력(MsgBox, InputBox)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세지박스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sgBox, InputBoxMsgBox는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메세지창이고InputBox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메세지창입니다. MsgBox Colored By Color Scripter™12345F2::{ MsgBox 메세지박스 return} 이게 메세지박스의 기본 모양입니다. Colored By Color Scripter™123456789 F3::{ MsgBox, 4, , Yes/No 메세지박스 IfMsgBox, Yes MsgBox Yes클릭 IfMsgBox, No MsgBox No클릭 return} 메세지박스 Yes/No 형식입니다.4번째 줄과 6번째 줄은 Yes/No를 클릭했을때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MsgBox, TextMsgBox ..

메이플스토리 리부트 보돌이란?(보스돌기)

******아래의 방법은 보스리워드 패치로 인해 변경되어서 보돌은 없어졌습니다. ****** 메이플 리부트 돈벌기 안녕하세요. 이번에 소개할건 메이플스토리 리부트서버의 고유문화인 "보돌"인데요(보스돌기) 보돌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보스돌기(보돌)이란? 2.보돌을 꼭 해야하는가? 3.보돌할때 필요한 준비물 4.보돌 용어 해석 5.보돌 하는법 6.보스 별 공략 1)노말핑크빈 2)노말아카이럼 3)노말/하드반레온 4)하드힐라 5)노말매너스 7.기타팁 1)획득메소량 2)보돌앱 8.QnA 1) 보돌을 할 때 왜 핑크빈부터 시작하죠? 2) 보돌을 할 때 왜 노매를 맨 마지막에 잡죠? 3) 카오스혼테일, 카웅은 왜 안잡나요? 3) 하힐이 너무쌘데 노힐잡으면 안되나요? 5) 메획은 장비 어느부위에 뜨죠? 6) 보돌..

아트메가를 사용한 디지털 온도계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아트메가8를 이용하여 디지털 온도계를 만들어보겠습니다.세븐세그먼트에 실내온도를 표시하고 온도에 따라서 LED가 켜지게 할것입니다. 30도 이상 - 초록LED21~29도 - 노랑LED20도 이하 -빨강LED 전원은 9V건전지를 사용하고 7805를 이용하겠습니다.부분 설명 -78057805는 전압을 변경해주는 IC로써 IN과 GND에 전원을 연결하고 5V와 GND를 아트메가에 연결하면 됩니다. -LM35 LM35는 온도감지 센서로써 5V와 GND에 전원을 입력하고 OUT으로 센서값을 얻어오면 됩니다. -세븐세그먼트 필요재료 만능기판, ATMEGA8 , 외부클럭, 7805, 세븐세그먼트, LM35(온도센서), 스위치 만든과정 적절한 위치에 소자들을 납땜합니다. 세븐세그먼트를 세우기위해서 ..

아트메가/활용 2017.07.07

아트메가128 센서제어하기(ADC제어) 2편

안녕하세요. 실제로 ADC를 이용해여 조도센서의 값을 측정해보겠습니다. 아트메가128 센서제어하기(ADC제어) 1편위의 사이트에 레지스터 설명이 있습니다. 조도센서로부터 값을 읽어서 컴퓨터 시리얼모니터로 볼 것입니다. 조도센서는 저항으로써 밝기에 따라 값이 변합니다. 밝으면 저항이 작아지고 어두우면 저항이 올라갑니다. 그림과 처럼 연결해줍니다. 전압분배법칙에 의해서 CDS의 값이 커지면(어두워지면) 전압이 커지게됩니다.(큰값이 감지됩니다.) 실제로 연결한 모습입니다. 연속변환모드를 사용했습니다.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art.h"#define F_CPU 16000..

아트메가/이론 2017.07.04

아트메가128 usart통신하기(3) 컴퓨터

아트메가128 usart통신하기(1) 안녕하세요. 컴퓨터와 아트메가 통신을 하겠습니다.사용하는 프로그램은 터미널 아무거나 사용하면 됩니다. 컴퓨터에 있는 RS-232에서 나오는 신호는 +-12V입니다. 그러나 아트메가의 RX,TX의 신호는 0~5V입니다. 중간에서 전압을 변환시켜주는 것이 필요한데 MAX232라는것을 보통 사용합니다. 그러나 제가 사용하는 노트북은 RS-232단자가 없습니다. 그래서 USB-TTL변환케이블을 사용하면됩니다. USB-TTL케이블을 연결하면 컴퓨터는 RS-232로 인식을합니다. 또한 따로 전압을 바꿔줄 필요가 없습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

아트메가/이론 2017.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