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토핫키 프로그램실행명령어인 Run과 Runwa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un과 Runwait으로 프로그램,폴더,인터넷사이트를 킬 수 있습니다.
1 2 3 4 | F2:: { Run, Calc } |
실행시키고 F2을 누르면 계산기가 나옵니다.
1 2 3 4 | F2:: { Run, C:\ } |
실행시키고 F2을 누르면 C드라이브가 나옵니다.
1 2 3 4 | F2:: { Run, http://wowon.tistory.com } |
위에서 여러 기능들을 해봤습니다. 위의 코드대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지만 매개변수를 알면 더 잘 다룰 수 있습니다.
Run, Target [, WorkingDir, Max|Min|Hide|UseErrorLevel, OutputVarPID] RunWait, Target [, WorkingDir, Max|Min|Hide|UseErrorLevel, OutputVarPID] | cs |
Run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함수
RunWait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이 끝나면 이벤트가 발생하게 하는 함수
Target
프로그램을 가리키는 변수입니다.
ex) Hi.txt , maplestory.exe...
WorkingDir
실행시킬 파일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변수입니다.
생략하면 현재 오토핫키파일이 저장된 곳에서 찾습니다.
msgbox, %A_WorkingDir% 를 한다면 현재 디렉토리가 보여집니다.
Max|Min|Hide|UseErrorLevel
Max : 프로그램이 최대화로 실행됩니다.
Min : 프로그램이 최소화로 실행됩니다.
Hide : 프로그램을 표시되지않고 실행시킵니다.
UseErrorLevel : Target이 잘못되었다면 ErrorLevel에 따라 이벤트를 수행합니다.
OutputVarPID
Target을 실행하고 PID를 저장할 변수명입니다. (쓰레드 제어할때 사용)
실제로 Run과 RunWait을 이용해서 파일을 켜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 F2:: { Run,C:\Users\aaa\Desktop\Hi.txt Run, Hi.txt , C:\Users\aaa\Desktop Run, Hi.txt , C:\Users\aaa\Desktop , Max } |
3번째줄 : 경로명을 적어서 파일을 실행시켰습니다.
4번째줄 : 경로명을 지정시키고 파일을 실행시켰습니다.
5번째줄 : 파일을 실행시키고 크기는 가장크게 했습니다.
1 2 3 4 5 6 7 8 | F2:: { Run, Hi.txt, ,UseErrorLevel if ErrorLevel msgbox,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else msgbox, 파일을 실행 시켰습니다. } |
3번째줄 : UseErrorLevel을 사용하여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때 파일을 찾는 위치는 현재 오토핫키파일이 저장된 위치입니다.
1 2 3 4 5 | F2:: { RunWait, Hi.txt msgbox, 파일 종료 } |
4번째줄 : Hi.txt파일이 꺼진다면 4번째줄부터 코드가 실행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 오토핫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핫키 창 크기 변경하기(WinMove) (0) | 2020.09.27 |
---|---|
오토핫키 이미지서치함수(ImageSearch) (2) | 2020.09.26 |
오토핫키 메세지박스,메세지출력(MsgBox, InputBox) (0) | 2017.07.20 |
오토핫키 기초/기본 (0) | 2017.06.15 |
오토핫키 사용법,오토핫키 설치하기,오토핫키 한글 (0) | 2017.06.15 |